문화제 답 사
보은 법주사의 팔상전을 찾아서.
정로즈
2022. 7. 18. 15:18
보은 법주사의 팔상전을 찾아서.
2018년 10월19일 대구문화제지킴이회에서...



송림사 팔상도는 비람강생상, 사문유관상, 수하항마상, 녹원전법상, 쌍림열반상의 5장이 남아있으며, 제작시기와 화승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녹원전법상에 “忠淸道公州摩谷寺”란 묵서가 남아있어 마곡사 팔상도 제작을 위해 출초한 것으로 판단된다. 송림사 팔상도 초본은 복잡한 내용을 한 화면에 표현하기 위해 나무와 전각 등을 이용해 공간을 구획하였으며 존상들이 존재감 있게 드러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필선만을 사용하고 나무, 바위, 구름 등 사물에 대한 묘사가 명확하고 정밀하게 표현하였다. 팔상도 초본의 제작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화풍 상 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조선후기 팔상도에서 그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형식이 나타나는 등 미술사적 가치가 높고 조선후기 팔상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이 글은 문화제청에서 옮겨온 소개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