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30만명이 찾은 추사展, 18일 서울 예술의전당서 개막
"글자·획 해체해 재구성한 파격… 20세기 현대 추상 미술과 직통"

"우는 듯 웃는 듯, 춤추는 듯 성낸 듯, 세찬 듯 부드러운 듯, 천변만화의 조화가 숨어 있다."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의 글씨에 대해 미술사학자인 근원 김용준은 이렇게 감탄했다. 우리 눈에만 그리 보이는 게 아니었나 보다. 지난여름, 추사가 1809년 연행(燕行)으로 중국 땅을 밟은 지 210년 만에 추사 작품 117점이 처음 중국에서 공개되자 현지 반응이 뜨거웠다. 하루 평균 5000명, 두 달간 관람객 30만명이 다녀갔다. 우웨이산(吳爲山) 중국국가미술관장은 "글씨를 넘어선 그림이다. 심미적으로나 조형적으로 현대 추상과 직통한다"고 했고, 서예가 황진핑(黃金平)은 "병풍 한 폭, 글자 한 자마다 고풍스러움과 소박함, 균형을 깬 듯하면서 다시 화합을 느끼게 하는 아름다움을 느꼈다"고 했다.
'글로벌 추사'로 거듭나게 한 베이징 특별전이 금의환향했다. 서울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18일 개막한 '추사 김정희와 청조(淸朝) 문인의 대화'는 지난해 중국국가미술관에서 열린 동명(同名) 전시의 귀국전이다. 추사의 현판·대련·두루마리·병풍·서첩 등 대표작과 함께 추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세기 작품까지 120여점을 선보인다.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의 글씨에 대해 미술사학자인 근원 김용준은 이렇게 감탄했다. 우리 눈에만 그리 보이는 게 아니었나 보다. 지난여름, 추사가 1809년 연행(燕行)으로 중국 땅을 밟은 지 210년 만에 추사 작품 117점이 처음 중국에서 공개되자 현지 반응이 뜨거웠다. 하루 평균 5000명, 두 달간 관람객 30만명이 다녀갔다. 우웨이산(吳爲山) 중국국가미술관장은 "글씨를 넘어선 그림이다. 심미적으로나 조형적으로 현대 추상과 직통한다"고 했고, 서예가 황진핑(黃金平)은 "병풍 한 폭, 글자 한 자마다 고풍스러움과 소박함, 균형을 깬 듯하면서 다시 화합을 느끼게 하는 아름다움을 느꼈다"고 했다.
'글로벌 추사'로 거듭나게 한 베이징 특별전이 금의환향했다. 서울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18일 개막한 '추사 김정희와 청조(淸朝) 문인의 대화'는 지난해 중국국가미술관에서 열린 동명(同名) 전시의 귀국전이다. 추사의 현판·대련·두루마리·병풍·서첩 등 대표작과 함께 추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세기 작품까지 120여점을 선보인다.

'계산무진(谿山無盡·계산은 끝이 없구나)'과 '유희삼매(遊戱三昧·예술이 극진한 경지에 이름)'는 글자 배치부터 파격적이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서서히 올라가다가 뚝 떨어지는 리듬, 비우고 채우는 공간 경영이 돋보인다. 스물셋에 부친을 따라 청나라 연경(燕京·지금의 베이징)에 가서 최신 학문에 눈을 뜬 추사는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 등 당대의 거유(巨儒)들과 교유하며 역대 서법을 익혔고, 귀국 후 평생 이를 갈고닦아 추사체라는 독보적 서체를 완성했다. 추사 스스로 밝혔듯 "열 개의 벼루를 구멍 내고 붓 천 자루를 닳아 없앤" 노력의 산물이 바로 추사체다.
베이징 전시가 추사와 중국 석학들의 교류를 통해 '필묵공동체' 동아시아를 강조했다면, 이번 전시는 추사 글씨의 현대성에 방점을 찍었다. 전시장 말미에 김종영, 윤형근 등 추사 작품에서 영감을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29/2020012900260.html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휑한 눈망울의 목이 긴 여인… 오늘도 그 사내를 기다리네 (0) | 2020.03.15 |
---|---|
그래도 꽃은 핀다 (0) | 2020.03.11 |
](21)참된 어른을 찾기 전까지…고흐는 의자를 비워뒀다 (0) | 2020.01.19 |
이 얼굴에 한국 100년이 담겨있다. (0) | 2020.01.17 |
114년 만의 재결합[이은화의 미술시간]〈94〉 (0) | 2020.01.16 |